오늘 본 매물이 없습니다.
카카오톡
자주 하는 질문
HOME 자주 하는 질문
 캄보디아는 정말 양도 / 증여 / 상속세가 없나요? 등록일: 2025-01-03 
캄보디아 부동산 투자의 핵심은 '절세'에 있습니다. 캄보디아 부동산 투자시 양도세, 증여세, 상속세가 없다고 하면 처음에는 "정말 없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 마련이다. 한국식 사고 방식으로는 잘 믿겨지지 않는 이야기 이겠지만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정말 없다'. 캄보디아 부동산 세법에 대해 짚어보도록 하자. ​ 캄보디아 부동산 관련 세금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표와 같다. 캄보디아에서는 개인 소득분에 대한 과세를 아직 시행하고 있지 않다. 즉, 급여소득에 대한 원천 징수세를 제외한 개인사업소득, 임대소득 및 종합소득에 대한 과세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개인이 부동산을 임대하는 경우 발생되는 임대 소득 및 부가세 또한 대부분 과세 되지 않는 실정이다. ​ 한국의 경우 임대 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키면 대부분 30 - 40% 이상 중 과세대상이 될 가능성이 크며, 이렇게 형성된 자산을 증여/상속시 다시 40% 이상이 과세 되므로 부동산을 통한 자산증식이나 대물림이 큰 의미가 없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캄보디아 유력자들은 양도세, 증여세, 상속세등의 과세를 추진할 적극...
 캄보디아는 미국달라를 사용하나요? 자국 화폐 "리엘"을 사용하나요? 등록일: 2025-01-03 
USD는 캄보디아 실물경제의 기축통화 캄보디아는 공식 통화로 자국화폐인 "RIEL"을 사용한다. 한국사람들에게 타이 "BATH"나 베트남의 "DONG"은 들어 봤어도, "RIEL"이라는 화폐는 영 생소하겠지만 캄보디아 방문시 환전에 대해 크게 걱정 할 필요는 없다. 왜 USD를 사용하게 되었나요? 캄보디아는 자국 화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USD를 주로 사용하게 되었을까? 1990년대 초반 UN이 캄보디아 과도정부를 구성하고 있던 상황에서 UN은 캄보디아에 $1.7billion 달하는 원조자금을 USD로 투입하게 되었고, 이는 화폐의 안정성을 잃어가고 있는 Riel을 대신하여 대표적인 통화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USD를 기반으로 국제적 원조자금과 FDI(외국인 직접투자)가 활성화 되는 계기가 되었고, 국민들 또한 불안전한 화폐보다 안정적인 USD 사용을 선호하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널리 통용되고 있는 것이다. 달러와 리엘의 환율은 어떻게 되나요? 한 국가 경제에 두개의 통화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이 어떻게 가능 한 것일까? 이는 곧 두 통화 (USD와 RIEL)가 안정적인 환율 변동성을 가지고 있어야만 가능한 이야기 이다. USD와 RIEL...
 캄보디아에서 달라로 예금이 가능한가요? 등록일: 2024-05-20 
캄보디아는 미국 달라와 캄보디아 리엘을 혼용하는 국가이며, 예금이나 자산 투자등은 대부분 달라로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시중은행에서 미국 예금, 적금, 대출등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고 있고 달라 정기예금의 경우 6 - 8 %의 이자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에는 아직 예금자 보호법이 없지만, 신한, 국민, 우리은행등 대형 한국 은행들이 진출하여 있어서 현지 은행들에 비해서 높은 신용을 보장 받을수 있습니다. 은행마다 계좌 개설에 필요한 요건을 다르게 요구하고 있으나 한국인의 경우 계좌개설이 간편하고 한국인 직원이 상주하고 있는 우리은행에서 예금 상품을 많이 가입하고 있습니다. 이자 소득에 대한 원천 징수는 거주자에게는 6%, 비거주자에게는 14%를 차감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캄볻디아를 방문하여 계좌개설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 연락처로 연락하셔서 도움을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인포맥스와 함께 즐거운 캄보디아 투자하세요. - 인포맥스 - 한국 사무실 : 010-8600-4448 (김영식 지사장) 캄보디아 사무실 : 010-222-350 (김민희 실장) 카카오톡 실시간 상담 : http://pf.kakao.c...
 외국인이 캄보디아 부동산을 소유 할 수 있나요? 등록일: 2024-04-29 
네, 외국인 자격으로 캄보디아 부동산을 구입/소유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소유권은 영구 소유권으로 증여/상속이 가능한 영구소유 자산으로 인정 됩니다. 다음의 두가지 경우를 기억하시면 됩니다. 1. 콘도 오피스텔등 분할등기로 이루어진 집합건물의 특정 '세대'를 소유하는 것은 외국인 명의로 등기 발급이 됩니다. 2. 토지 혹은 토지가 포함된 주택, 건물의 경우 등기는 외국인 이름으로 나오지 않지만 다음의 세가지 방법으로 실질적 소유를 하고 있습니다 2-1. 명의 신탁 : 국가가 인정하는 명의신탁 회사의 신탁서비스를 이용하여 부동산을 보유 2-2. 캄보디아 시민권 취득 : 캄보디아 시민권을 취득하여 캄보디아 이름으로 부동산 소유 2-3. 캄보디아 법인 : 캄보디아인이 51%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법인의 이름으로 부동산 소유 (캄보디아 51% 명의권자가 실제 주주가 아닌경우 문제가 될 소지 있음) 소유, 증여/상속 절차가 간단한 콘도. 오피스텔의 경우 보통 안정적인 월세소득이나, 증여/상속 절세를 위한 상품으로 적합하고, 토지의 경우는 시세차익을 보고 중/장기로 투자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어떤 형태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캄보디아는 공산 주의 국가 인가요? 등록일: 2024-04-17 
캄보디아는 중국, 베트남과 같은 공산 주의 국가인가요?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캄보디아는 일본, 태국과 같은 입헌군주국인데, 공산주의 국가로 잘 못 알고 계신분들이 많다. 왜 캄보디아는 공산주의 국가로 잘못 알려 지게 된 것일까? 이는 프랑스 식민시절부터 이어졌던 캄보디아의 복잡하고 아픈 정치 역사 때문 일 것이다. 그 역사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랑스 식민 시절 독립 운동가들사이에서 '공산주의' 이데올로기가 독립을 위한 이데올로기로 번짐 2. 그러나, 독립이후 국가는 '공산주의'가 아닌 '입헌군주제'로 운영 3. 베트남 전쟁시 미군이 러시아-베트남의 물자수송로 였던 캄보디아에 폭격을 가함 4. 이러한 '반미감정'을 바탕으로 '폴포츠'가 극단적인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집권 5. 폴포츠의 크메르 루주라는 극단적 좌파 세력하에, '킬링필드'라는 자국민 학살이 벌어짐 6. 크메르 루주 조직원이었던 훈샌이 폴포츠 세력을 축출 7. UN의 임시통치시절을 거쳐 탈 공산화 추진 8. 훈샌총리를 기반으로한 입헌군주국가 체제 설립 이처럼 캄보디아는 복잡한 정치역사를 가지고 있고, 그 역사의 중심에 항...
1
Query Time : 0.12 sec